맨위로가기

국도 제63호선 (미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63호선 (미국)은 미국 남부와 중서부를 연결하는 간선 도로이다. 루이지애나주에서 시작하여 아칸소주, 미주리주, 아이오와주, 미네소타주를 거쳐 위스콘신주에서 끝난다. 여러 주에서 다른 국도 및 주간고속도로와 중첩되며, 특히 아칸소주에서는 여러 개의 특별 노선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오와주의 도로 - 링컨 하이웨이
    링컨 하이웨이는 1913년 미국 최초의 대륙 횡단 도로로 건설되어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으며, "미국을 가로지르는 메인 스트리트"라는 별칭으로 연선 도시와 마을에 번영을 가져다주고 미국의 도로 건설 및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 구축에 영향을 미치며 역사적 가치를 기리고 있다.
  • 아이오와주의 도로 - 국도 제71호선 (미국)
    국도 제71호선은 루이지애나주에서 미네소타주까지 남북으로 이어지는 주요 도로로, 6개 주를 통과하며 미래에는 주간고속도로 제49호선으로 승격될 예정이다.
  • 위스콘신주의 도로 - 국도 제61호선 (미국)
    국도 제61호선은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에서 미네소타주 와이오밍까지 이어지는 미국의 주요 남북축 국도로, 과거 더 긴 노선에서 주간고속도로 제35호선의 건설로 단축되었으며, 특히 미시시피 델타 지역은 "블루스 하이웨이", 세인트루이스 남쪽 구간은 "엘 카미노 리얼"의 경로를 따라 건설되어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 위스콘신주의 도로 - 국도 제10호선 (미국)
    국도 제10호선은 미국 북부를 횡단하는 과거의 국도로, 주간고속도로 개통으로 노선이 변경되어 현재는 미네소타, 위스콘신, 미시간, 노스다코타 주를 지나며 SS 배저 페리를 통해 미시간 호를 횡단하고 미시간 주 베이 시티에서 끝난다.
  • 아칸소주의 도로 - 국도 제71호선 (미국)
    국도 제71호선은 루이지애나주에서 미네소타주까지 남북으로 이어지는 주요 도로로, 6개 주를 통과하며 미래에는 주간고속도로 제49호선으로 승격될 예정이다.
  • 아칸소주의 도로 - 주간고속도로 제30호선
    주간고속도로 제30호선(I-30)은 텍사스주 앨레도 인근에서 시작하여 아칸소주 노스리틀록에서 끝나는 590km 길이의 고속도로로, 댈러스-포트워스, 텍사카나, 리틀록 등 주요 대도시권을 연결하며 텍사스와 아칸소 주를 통과하고 댈러스-포트워스 구간은 "톰 랜드리 고속도로"로도 불린다.
국도 제63호선 (미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일반 정보
노선 종류일반국도
노선 번호63
미국 국도 제63호선
미국 국도 제63호선
미국 국도 제63호선 노선도
미국 국도 제63호선
총 연장2,070 km (1,286 mi)
개통 년도1926년
방향남-북
남쪽 기점루이지애나주 러스턴 (I-20, US 167)
북쪽 종점위스콘신주 애슐랜드 (US 2) 서쪽
통과 지역루이지애나주, 아칸소주, 미주리주, 아이오와주, 미네소타주, 위스콘신주
이전 노선US 62
다음 노선US 64
주요 교차로
교차로 정보I-40, US 49 - 브린클리, 아칸소주
I-44 - 롤라, 미주리주
I-70, US 40 - 컬럼비아, 미주리주
I-80 - 맬컴, 아이오와주
I-90 - 로체스터, 미네소타주
I-94 - 볼드윈, 위스콘신주

2. 주요 경로

2. 1. 루이지애나주

US 63은 루이지애나주를 관통하고 있으며, 기점인 러스턴에서 정션시티까지 35 mi 구간에 한하여 국도 제167호선과 중복된다. 이 중복 구간의 종점은 아칸소주 주계선까지 이어진다.

63번 국도는 루이지애나주 전 구간에서 합류하여 167번 국도와 함께 운행하며, 러스턴에서 북쪽으로 출발하여 정션 시티의 아칸소주 경계까지 총 56km의 거리를 운행한다.

2. 2. 아칸소주

63번 국도는 정션 시티에서 167번 국도와 함께 루이지애나주에서 아칸소주로 진입한다. 주에 진입한 지 불과 몇 마일 만에 두 고속도로는 엘도라도의 동쪽 가장자리를 고속도로로 달리며, 여기서 167번 국도는 갈라져 햄프턴 방향으로 이동한다. 63번 국도는 워런 마을을 우회하여 278번 국도를 건넌 후, 시골 클리블랜드 카운티를 통과하여 제퍼슨 카운티로 진입한다.

파인 블러프의 I-530 남쪽 종점에서 63번 국도


제퍼슨 카운티에서 63번 국도는 파인 블러프 시를 통과하며, 도시를 우회하여 I-530의 마지막 3마일을 달린다. 또한 파인 블러프에서 이 고속도로는 65번 국도 및 79번 국도와 중복된다. 63번 국도는 슈투트가르트까지 79번 국도와 함께 북동쪽으로 달리며, 여기서 고속도로는 헤이즌으로 북쪽으로 이동한다. 헤이즌 북쪽에서 63번 국도는 I-40과 겹쳐 브링크리까지 이어진다. 브링크리에서 63번 국도는 49번 국도와 함께 북쪽으로 존스보로까지 겹쳐진다. 63번 국도는 49번 국도를 떠나 I-555를 따라 I-555가 종착할 때까지 달리며 존스보로 남부를 우회한다. 혹시에서 63번 국도는 67번 국도 (미래의 I-57)와 교차한다. 여기에서 북서쪽으로 포르티아 근처에서 고속도로는 412번 국도와 겹쳐진다.

62번 국도는 임보든에서 63번 국도 및 412번 국도와 합류


임보든에서 62번 국도가 이 중복 구간에 합류한다. 하디에서 63번 국도는 두 고속도로를 떠난다. 매머드 스프링에서 63번 국도는 미주리주로 건너가 웨스트 플레인스로 이동한다.

역사적으로 63번 국도에는 많은 비중복 구간이 있었지만, 그 중 많은 부분이 해결되었다. 2016년, 존스보로에서 터렐까지의 63번 국도 (레드 울프 블러바드에서 사우스웨스트 드라이브까지의 원래 49번 국도와 중복 포함)는 I-555로 지정되었다. 결과적으로 63번 국도는 브링크리에서 존스보로까지 49번 국도와 함께 달리도록 경로가 변경되었다. 그런 다음 63번 국도는 I-555가 존스보로 서쪽에서 끝날 때까지 I-555와 함께 달리다가, 포르티아에서 412번 국도와 중복되는 지점까지 혼자 북서쪽으로 계속 이동하여 월넛 리지 바로 북서쪽에 위치한다.

2. 3. 미주리주

미국 63번 국도는 아칸소주에서 아이오와주까지 미주리주를 남북으로 통과하며, 롤라, 제퍼슨 시티, 컬럼비아, 모벌리, 메이컨, 커크스빌과 같은 도시를 지난다.

교차하는 주요 노선으로는 하웰 카운티의 US 60, 롤라의 I-44가 있다. US 50 (미주리강 남쪽 제퍼슨 시티로 진입하여 US 54와 교차할 때까지 중복), US 54 (제퍼슨 시티에서 US 50과의 교차점에서 중복되어 제퍼슨 시티 다리에서 미주리강을 함께 건넘), 컬럼비아의 I-70, 모벌리의 US 24, 메이컨의 US 36, 랭커스터의 US 136 등이 있다.

미주리주 내 US 63은 1922년부터 1926년까지 '''7번 국도'''였다.

2. 4. 아이오와주

63번 국도는 아이오와주를 남북으로 통과한다. 이 도로는 블룸필드 남쪽의 미주리주에서 아이오와주로 진입한다.[2] 오텀와와 오스칼루사 사이에서 이 도로는 아이오와주 163번 국도와 중첩된다.[2] 이 구간은 데모인과 벌링턴을 연결하는 고속도로로, 오텀와와 에디빌을 우회하는 고속도로 우회로가 있다.[2] 말콤 근처에서 63번 국도는 I-80와 만난다.[2] 불과 몇 마일 떨어진 곳에서 이 도로는 그리넬 근처에서 수 마일 동안 서쪽으로 가는 US 6와 합류한 다음 다시 북쪽으로 향한다.[2] 톨레도에서 US 30와 교차하고, 워털루에서 63번 국도는 US 20과 만난다.[2] 2012년 10월에 워털루와 뉴햄프턴 사이의 4차선 연결을 완료하는 고속도로 구간이 개통되었다.[2] 이 도로는 체스터 바로 북쪽에서 미네소타주로 진입한다.[2]

2. 5. 미네소타주

미국 63번 국도는 스프링 밸리 남쪽의 아이오와 주에서 미네소타 주로 진입한다. I-90과 만난 후, 미국 63번 국도는 지역 공항으로 연결되며 미국 52번 국도와 교차한다. 이 지역에서 미국 63번 국도는 간선 도로이지만, 스튜어트빌과 미국 52번 국도 분기점 사이의 고속도로로 업그레이드할 계획이 있다. 로체스터 북쪽에서 이 도로는 미국 61번 국도와 레이크 시티에서 만난다. 거기에서 두 노선은 레드윙까지 동시에 운행하며, 미국 63번 국도는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미시시피강을 건너 아이젠하워 다리를 통해 위스콘신 주로 진입한다.

미국 63번 국도의 미네소타 구간은 미네소타 법령 §§ 161.114(2) 및 161.115(92)의 노선 59 및 161로 정의된다.

2. 6. 위스콘신주

63번 국도는 헤이거 시티 남쪽에서 위스콘신 주로 진입한다. 볼드윈 인근에서 63번 국도는 94번 주간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스푸너 근처에서 잠시 53번 국도와 중첩된다. 트리고에서 두 도로는 분리되고 63번 국도는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뻗어 헤이워드케이블을 지나 애슐랜드 근처의 2번 국도에서 끝난다. 2013년 법에 따르면, 이 도로는 위스콘신 주 전역에서 "게이로드 넬슨 고속도로"로 불린다.

3. 역사

1999년 연장 전까지 US 63아칸소주 터렐에서 끝났지만, 과거에는 테네시주 멤피스까지 멤피스 & 아칸소 다리를 통해 US 61/US 64/US 70/US 79(후에 I-55)와 중복되었다. 1999년 연장과는 달리, 멤피스까지의 이 중복 구간은 일반적으로 나머지 US 63 노선과 일치했다. 일부 지도에서는 1999년까지 이 중복 구간을 계속 표시했지만, 아칸소주는 적어도 1960년대부터 터렐 남쪽의 US 63을 오랫동안 인정하지 않았다.

4. 접촉하는 도로

wikitext

주간고속도로



일반 국도


4. 1. 주간고속도로

4. 2. 일반 국도

국도 제167호선 (루스턴): 엘도라도까지 US 63/US 167은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82호선 (엘도라도)[6]

국도 제278호선 (워렌)[6]

국도 제65호선, 국도 제79호선 (파인블러프): I-530/US 63/US 65는 도시를 관통하는 동시 구간이다. US 63/US 79는 슈투트가르트까지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425호선 (파인블러프)[6]

국도 제165호선 (슈투트가르트)[6]

국도 제70호선 (헤이즌): 도시를 관통하는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49호선 (브링크리): 존스보로까지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64호선 (페어오크스)[6]

국도 제67호선 (월넛리지): 혹시까지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412호선 (포르티아 남동쪽): 하디까지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62호선 (임보든): 하디까지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160호선 (웨스트플레인스): 도시를 관통하는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60호선 (윌로우스프링스 남동쪽): 케이블 남동쪽까지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50호선 (웨스트팔리아 북쪽): 제퍼슨시티까지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54호선 (제퍼슨시티): US 54/US 63은 도시를 관통하는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40호선 (컬럼비아)[6]

국도 제24호선 (모벌리)[6]

국도 제36호선 (메이컨)[6]

국도 제136호선 (글렌우드 남남동쪽): 랭커스터까지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34호선 (오텀와): 오텀와 동쪽까지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6호선 (말콤 북쪽): 말콤 북북서쪽까지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30호선 (톨레도)[6]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18호선 (워털루)[6]

국도 제18호선 (프레더릭스버그 서쪽): 뉴햄프턴까지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52호선, 국도 제14호선 (로체스터)[6]

국도 제61호선 (레이크시티): 레드윙까지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10호선 (엘스워스 서쪽): 엘스워스 동쪽까지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12호선 (볼드윈): 마을을 관통하는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8호선 (터틀레이크): 마을을 관통하는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53호선 (스푸너 북북동쪽): 트리고까지 동시 구간이다.[6]

국도 제2호선 (애쉴런드 서쪽)[6]

5. 특별 도로


  • 국도 제63호선 (사업) (워렌, 아칸소)
  • 국도 제63호선 (사업) (파인블러프, 아칸소)
  • 국도 제63호선 (사업) (마크 트리, 아칸소)
  • 국도 제63호선 (사업) (보노, 아칸소)
  • 국도 제63호선 (사업) (혹시, 아칸소)
  • 국도 제63호선 (사업) (하디, 아칸소)
  • 국도 제63호선 (사업) (웨스트 플레인스, 미주리)
  • 국도 제63호선 (사업) (윌로우 스프링스, 미주리)
  • 국도 제63호선 (사업) (모벌리, 미주리)
  • 국도 제63호선 (사업) (오텀와, 아이오와)
  • 국도 제63호선 (사업) (뉴햄프턴, 아이오와)

6. 같이 보기


  • 아이오와 주도 제163호선 - 이전에는 US 63의 지선으로, US 163으로 번호가 매겨졌었다.

참조

[1] 간행물 United States System of Highways Adopted for Uniform Marking b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Officials https://commons.wiki[...]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3-11-07
[2] 뉴스 Southbound US 63 Traffic Patterns to Change Monday Afternoon http://www.news.iowa[...] Iow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3-01-26
[3] 웹사이트 161.114, 2018 Minnesota Statutes https://www.revisor.[...] Revisor of Statutes, State of Minnesota 2019-01-09
[4] 웹사이트 161.115, 2006 Minnesota Statutes https://www.revisor.[...] Revisor of Statutes, State of Minnesota 2019-01-09
[5] 웹사이트 WI Stat § 84.1051 (2013 through Act 380) https://law.justia.c[...] 2022-07-17
[6] 서적 The Road Atlas Rand McNall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